안동 의성 김씨 종가의 장아찌류: 무말랭이장아찌 · 두릅장아찌 · 참죽장아찌 · 더덕장아찌 · 비비추장아찌
안동 의성 김씨 종가의 장아찌류: 무말랭이장아찌 · 두릅장아찌 · 참죽장아찌 · 더덕장아찌 · 비비추장아찌
36문장
0%
태국어 번역 0명 참여
출처 : 한국 종가의 내림 발효음식백과
번역
0%
안동 의성 김씨 종가 장아찌류의 정의와 유래
각종 채소를 소금이나 간장, 고추장 등에 절여서 숙성시키는 장아찌는 우리나라의 전통 식생활을 대표하는 저장 식품의 하나다.
대기중
19세기의 가사 작품인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를 보면 7월령에 “채소 과일 흔할 적에 저축을 많이 하소. 박 · 호박고지 켜고 외 · 가지 짜게 절여 겨울에 먹어보소. 귀물이 아니 될까.”, 9월령에 “타작점심 하오리라 황계 백숙 부족할까. 새우젓 계란찌개 상찬으로 차려놓고 배춧국 무나물에 고춧잎 장아찌라. 큰 가마에 안친 밥이 태반이나 부족하다.”라 하였다.
대기중
무말랭이장아찌는 근대기의 교육자 방신영이 쓴 <조선요리제법> 1937년판에 그 만드는 방법이 소개돼 있는데, 안동 의성 김씨 종가는 여기에 물엿을 넣어 달콤한 맛을 더했다.
대기중
사삼(沙蔘)이라고도 불릴 만큼 영양 성분이 풍부한 더덕도 오래전부터 장아찌로 담가 먹었는데, 조선 시대 고조리서인 <주방문>에 더덕장아찌 담그는 방법을 전하고 있다.
대기중
그러다 임하댐 건설로 인해 종택을 현재 위치로 옮기고 고택체험 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내림음식의 장맛과 양념은 그대로 고수하되 더욱 다양한 재료의 장아찌류를 담그게 되었다.
대기중
장아찌라는 것이 장만 있으면 어떠한 채소를 이용해서도 만들 수 있는 반찬이기 때문에 종가에서 대대로 전해지는 장맛의 비방을 간직한 다양한 장아찌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대기중